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보라색 소변백 증후군(Purple Urine Bag Syndrome, PUBS) : 원인, 기전, 간호 중재 총정리

by smart nurse 2025. 7. 15.
반응형

요로에 유치도뇨관(Foley catheter)을 삽입 중인 환자의 소변백(Urine bag)이 보라색으로 변했다면? 이는 단순한 색 변화가 아니라 ‘보라색 소변백 증후군(Purple Urine Bag Syndrome, PUBS)’일 수 있습니다. 이 글에서는 PUBS의 정의, 원인, 쉬운 기전 설명, 그리고 간호 중재 방법까지 자세히 알려드립니다.

이미지 출처 - 헬스조선

보라색 소변백 증후군이란?

보라색 소변백 증후군(PUBS)은 주로 장기간 유치도뇨관을 사용하는 환자에게서 발생하는 드문 현상으로, 소변이 담기는 소변백이 보라색으로 변색되는 증상을 말합니다.
이 현상은 소변 자체가 보라색인 것이 아니라, 소변 속 화학물질이 소변백 벽과 반응해 보라색 색소가 생성되기 때문입니다.

PUBS의 주요 원인

  • 장기간 Foley catheter 유지
  • 요로감염(UTI), 특히 특정 균(Proteus, Klebsiella, Providencia 등)
  • 알칼리성 소변 (pH↑)
  • 변비
  • 고령 여성
  • 면역저하 또는 와상 환자

이러한 조건이 함께 작용할 때 PUBS 발생 가능성이 높아집니다.

보라색 소변백 기전, 쉽게 설명하면?

보라색 소변백 증후군의 생리적 원인을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습니다:

  1. 단백질 섭취 → 체내에서 트립토판 생성
  2. 장내 세균이 트립토판을 분해 → 인돌(indole) 생성
  3. 인돌이 을 통해 → **인독실황산(indoxyl sulfate)**으로 바뀌어 소변으로 배출
  4. 소변 내에 세균이 존재하고, 소변이 알칼리성이면:
    • 인독실황산 → 인디고(파란색) + 인디루빈(빨간색)
  5. 두 색이 섞여 보라색이 되고, 이 색소가 소변백에 착색

요약: 단백질 → 트립토판 → 인돌 → 인독실황산 → 색소(보라색)
이 모든 과정에 세균, 알칼리성 소변, 변비가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.

간호사가 해야 할 간호 중재 및 보고 사항

  1. 소변검사(U/A)소변배양 검사 실시
  2. 요로감염 의심 시 의사에게 보고 → 항생제 처방 필요
  3. 유치도뇨관 및 소변백 교체
  4. 수분 섭취 권장하여 소변 희석
  5. 변비 예방 교육 및 식이조절
  6. 환자 및 보호자에게 위급한 상황이 아님을 설명하고 안심시킴

결론 : PUBS는 감염의 신호일 수 있습니다

보라색 소변백 증후군은 보기에는 놀랍지만, 대체로 생명을 위협하지는 않습니다.
하지만, 기저 요로감염이 존재할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원인을 파악하고 적절히 대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간호사로서 PUBS를 정확히 이해하고, 적절한 간호 중재를 시행한다면 환자 안전을 더욱 높일 수 있습니다.

반응형